[이력]
운중악(1930년-2010년), 본명 장림(蔣林), 광서(廣西) 남녕시(南寧市) 출생, 대만 초기격협정파(超技擊俠情派) 무협작가. 1947년 입대(從軍) 하였고, 1949년 대만으로 들어간 후 정보업무에 종사하다 1979년에 퇴역하였다. 1963년부터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80여 작품이 있다. 구우루(舊雨樓) 운중악 란의 소식으로는 운중악 선생은 2010년 10월 20일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생애]
필명 운중악(雲中岳)은 구름에 싸인 높은 산이 멀고 어렴풋하다는 의미에서 취하였는데 그 소탈하고 세상사에 연연하지 않는 인생관을 표현한다. 1930년에 태어났는데 부친이 장사를 하였고 상당한 가문의 명성이 있었다. 형제자매 5인이 있었는데 형, 누나, 남동생, 여동생이 각 1명이었다. 17세에 입대하였고, 1949년 군대를 따라 대만에 들어가 1964년부터 소령계급으로 육군의 모 비밀부서에서 근무하다 퇴역하였다. 1963년 군에 있을 때 운중악은 그 인생의 첫 번째 무협작품 검해정도(劍海情濤)를 써서 여명출판사(黎明出版社)를 통해 출판하였는데 당시 큰 호평을 받았고, 퇴역 후에는 계속 전문적으로 무협소설 창작에 몰두하였다. 무협소설 창작의 동기에 관해서 운중악은 쾌활하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군인 신분으로 장기간 군대를 따라 대강남북(大江南北)을 바쁘게 돌아다니다 일이 없으면 무협소설을 보게 되는데, 그래서 약간의 현역 군인이 무협소설을 쓰는 행렬에 뛰어들게 되었고 곧 많은 군인신분의 많은 무협소설 작가가 생겨나, 네가 할 수 있다면 나도 할 수 있겠다는 마음에서 무협창작에 뛰어들 생각이 생겼다. 특히 첫 번째 무협소설 검해정도가 상당히 잘 팔렸고 게다가 당시 무협소설을 써서 얻는 수입이 다른 직업보다 많았기 때문에 이후 줄곧 무협소설을 창작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성취 및 영예]
1) 무협 연원
당시 대만 무협소설의 다수는 스토리의 시간과 공간배경을 중시하지 않은 관계로 늘 학자들에게 비웃음을 받았다. 운중악은 본인이 역사에 대한 흥미가 많았기 때문에 운중악의 매 부 무협소설은 특히 그 역사배경을 설명하는데 주의하였고, 스토리와 관련된 역사를 고증하는데 매우 많은 노력을 쏟았다. 특히 명대(明代)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는 운중악의 학문적 소양은 일반 명사 전공자에 뒤지지 않았는데 이것이 운중악 무협소설의 첫 번째 특색이기도 하다. 수많은 대만무협 작품의 시간과 공간이 모호한 현상에 관하여 운중악은 이러한 자신의 무협 특색이 당시의 정치금기를 범하는 것이 아닌지 어느 정도 염려하였다. “대만의 무협소설은 대부분 역사적 배경을 중시하지 않았는데 내 생각에는 정치적 금기를 범하게 될까 염려해서일 수 있다(역사의 좋고 나쁨을 평하는 것은 쉽게 연상을 일으키고 심지어는 직접 정치금기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결코 이 점을 고려치 않았는데 왜냐하면 역사는 바꿀 수 없는 것이고, 정치의 간섭을 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나는 창작 과정에서 운좋게도 정치 간섭의 곤란을 겪지 않았다. 정치적 금기에 대한 우려는 확실히 수많은 무협작가들이 역사 문제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했던 것이 한 가지 큰 이유이긴 했지만 그밖에 많은 무협작가들도 시간과 정력을 쏟아 번거로운 역사고증을 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것이 더욱 중요한 원인이었지 않을까 생각한다.
비록 무협이 허구와 환상에 의지하여 성인동화로 불리기는 하지만 운중악은 가공의 스토리와 인물 가운데서 최대한도로 실제를 추구하였다. 역사 고증을 중시한 외에도 소설 중의 무예 묘사에 대해서도 일초 일식 모두 그 개인의 실제 능력이 있어 상상의 기초로 삼았다. “나는 어려서부터 무술을 익혔고 군에서 배우고 가르친 것도 모두 살인의 기술이었기 때문에 나의 무협소설 중의 초식 명칭은 단지 하나의 형용사이고 꾸며낸 것에 불과하지만 초식이 내포하는 묘사는 완전히 중국 무술에 근거한 것이다."
민국 이래로 무협 작가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진정으로 무예의 도를 아는 무협작가는 많지 않았다. 평강불초생 이후 필세가 웅건하고 생동감이 있으면서 또 문장으로써 무술 실력을 보일 수 있는 무협작가는 실로 손가락으로 셀 수 있을 정도이다. 운중악은 어려서부터 무술을 익혔고, 또 군대에서 비밀공작 요원의 훈련을 맡은 것을 보더라도 무예가 결코 평범하지 않았고 실제 고수의 경지에 다다랐기 때문에 그의 무협소설 중의 무술 묘사도 더욱 진실하여 믿을만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운중악이 역사와 무예에 대한 진실을 추구하고, 실제를 좇았던 관계로 운중악은 특히 유잔양과 김용 이 두 분의 동업(同業) 명가의 무협작품을 좋아하였다.
2) 인품과 철학
비록 일신에 사람을 놀랠만한 무예를 가졌지만 운중악은 도리어 더욱 겸손하게 사람을 대하였다. 그가 스스로 말한 인생관은
“사람은 절대로 스스로를 매우 뛰어나다고 여겨서는 안되며 반드시 사회 가운데 녹아드는 방법을 알아야만 한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살면서 지나치게 튀어서도 안되지만 너무 나약해서도 안된다. 요컨대 사회에 녹아들어야 하고, 남을 위압(威壓) 해서는 안되지만 너무 패기 없이 연약해서도 안된다.”
이러한 재주를 뽐내지 않으면서도 정의를 좇아 용감하게 나아갈 수 있는 사상도 바로 운중악 무협소설 중의 출중한 기개를 가진 협객의 원형이다. 일찍이 사회적으로 무협소설을 경시하는 목소리에 대하여 운중악은 매우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그만의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비록 무협소설의 주요 목적이 사람들에게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외에도 현대인으로 하여금 무협소설을 통하여 고대의 역사 및 생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나는 무협소설이 중국문학 가운에 일정한 지위를 차지한다고 믿는다. 미국의 서부소설처럼 여전히 그 창작자 및 독자가 있다. 나는 그 종류에 상관없이 어떠한 문학작품도 균등하게 사회교화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중 작가 개인의 사물에 대한 관점의 차이성에 상관없이 사회에 유익하고 받아들여질 수 있기만 하다면, 총괄적으로 말해서 나는 다원화된 문학 작품과 발전에 찬성한다. 무협소설은 내 생각에 한편으로는 이와 같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타 문학작품과 마찬가지의 특별한 의의 및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
많은 작가의 생애와 그들이 쓴 작품은 일정한 정도의 관련이 있고 무협소설가에게도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방파출신인 유잔양은 녹림조직 간의 은원과 다툼에 뛰어났고, 무술을 익히고 가르쳤던 운중악은 당연히 소설 중에 자신의 그림자를 써낼 수 있었다. 그는 자기 일생의 무협소설 창작 중에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경화매영(京華魅影)으로 여겼는데 원인은 바로 그 중의 스토리 묘사와 그 자신의 삶의 대부분을 보낸 군 생활이 서로 비슷했기 때문이며, 많은 소설 중의 등장인물에서도 모두 그 자신의 영향을 찾을 수 있었다.
진품 목록
No | 대만판 제목 | 주인공 | 비 고 |
1 | 검해정도(劍海情濤) | 매문준(梅文俊) | |
2 | 혈검난심(血劍蘭心) | ||
3 | 패해풍운(霸海風雲) | 화일운(華逸雲) | |
4 | 봉적정조(鋒鏑情潮) | 임군가(林君珂) | |
5 | 오소산하(傲嘯山河) | 파일운(華逸雲) | 패해풍운(霸海風雲)續集,이전 제목 패해비룡(霸海飛龍) |
6 | 검소황원(劍嘯荒原) | 축중원(祝中原) | |
7 | 천애로(天涯路)(天涯江湖路) | 사마영(司馬英) | 이전 제목 무림삼절(武林三絕 ), 망혼객(亡魂客) |
8 | 망명객(亡命客) | ||
9 | 망명지가(亡命之歌) | 채문창(蔡文昌) | 이전 제목 망명강호(亡命江湖)와 망명객(亡命客) |
10 | 고검섬정기 (古劍懺情記) | 갈춘범(葛春帆) | 이전 제목 와룡등운(臥龍騰雲) |
11 | 절대효웅(絕代梟雄) | 추람(秋嵐), 추뢰(秋雷) | |
12 | 대지등룡(大地龍騰) | 용중해(龍中海) | |
13 | 검해등룡(劍海騰龍) | ||
14 | 검영한(劍影寒) | 하안평(夏安平) | |
15 | 횡검광가(橫劍狂歌) | 오추화(吳秋華) | 이전 제목 구환등교(九環騰蛟), 유신검협(遊神劍俠)과 풍진호협(風塵豪俠) |
16 | 팔황용사(八荒龍蛇) | 시철(柴哲) | |
17 | 사해유기(四海遊騎) | ||
18 | 갑검응상(匣劍凝霜) | 애문자(艾文慈) | 이전 제목 갑검응상(匣劍凝霜), 탈명금침(奪命金針), 비검비홍(秘劍飛虹) |
19 | 비간비홍(秘簡飛虹) | ||
20 | 철담난심(鐵膽蘭心) | 백청산(柏青山) | 이전 제목 정천연옥(情天煉獄) |
21 | 비익정원(比翼情鴛) | ||
22 | 검루정관(劍壘情關) | 임화(林華) | |
23 | 고검정심(故劍情深) | ||
24 | 용양기사(龍驤奇士) | 고상(高翔) | 이전 제목 박호수(縛虎手) |
25 | 검저양진(劍底揚塵) | 방사정(方士廷) | |
26 | 협영홍안(俠影紅顏) | 최장청(崔長青) | |
27 | 청봉경뢰(青鋒驚雷) | 인패(印佩) | 최초 毅力版은 자모금사(子母金梭) 4책, 후에 연화인패(憐花印佩) 3책과 취생문사(醉杖門生 ) 3책으로 나눠짐. |
28 | 마화정염(魔火情焰) | ||
29 | 분야용상(莽野龍翔) | 주영욱(周永旭) | 이전 제목 분야신룡(莽野神龍) |
30 | 초야기인(草野奇人) | 이전 제목 단혼혈비파(斷魂血琵琶) | |
31 | 만장호정(萬丈豪情) | 양옥기(楊玉琦) | 이전 제목 옥사(玉獅), 광협사검(狂俠邪劍)과 풍운오검(風雲五劍) |
32 | 초망방화(草莽芳華) | 두홍(杜弘) | 이전 제목 은한고성(銀漢孤星) |
33 | 대자객(大刺客) | 두언(林彥) | |
34 | 일황인봉(逸凰引鳳) | 순문상(荀文祥) | |
35 | 반룡거호(蟠龍踞虎) | 원제 용쟁호투(龍爭虎鬥) | |
36 | 환검정화(幻劍情花) | 장이평(莊怡平) | |
37 | 정쇄무산(情鎖巫山) | ||
38 | 간과옥백(干戈玉帛) | 양가화(楊家驊)채지(蔡智)나극근(羅克勤) | 단편모음집,이전 제목 무정도객유정천(無情刀客有情天) 제2부 제3책 |
39 | 협영평종(俠影萍蹤) | 잠성오(岑醒吾) 이보응(李報應) 서영강(徐永康) | 단편모음집,이전 제목 무정도객유정천 (無情刀客有情天) 제2부 제2책 |
40 | 와호장룡(臥虎藏龍) | 비문유(費文裕) 구여백(丘如柏) 첨운(詹雲) | 단편모음집,이전 제목 무정도객유정천 (無情刀客有情天) 제2부 제1책 |
41 | 고도조안색(古道照顏色) | 위가창(韋家昌) 담정정(譚正廷) 오현(吳玄) | 단편모음집, 이전 제목 도기감춘정(刀氣撼春情 ) 제3부 제1책과 초택잠룡(草澤潛龍) |
42 | 포효변성(咆哮邊城) | 석성(石誠) 하남휘(夏南輝) 음신(陰神) | 단편모음집, 이전 제목 도기감춘정(刀氣撼春情) 제3부 제2책과 초택잠룡(草澤潛龍) |
43 | 초담잠룡(草澤潛龍) | 양류청(楊柳青) 고영의(高永毅) 유지백(柳志柏) | 단편모음집,이전 제목 도기감춘정(刀氣撼春情) 제3부 제3책과 초택잠룡(草澤潛龍) |
44 | 혈한요호(血漢妖狐) | 탁천위(卓天威) | 이전 제목 철한요호(鐵漢妖狐) |
45 | 화봉황(火鳳凰) | 송서운(宋舒雲) | 이전 제목 여랑자(女浪子) |
46 | 사신전(邪神傳) | 신문소(辛文昭) | 이전 제목 냉혈사신(冷血邪神) |
47 | 강한도룡(江漢屠龍) | 왕국화(王國華) | |
48 | 강룡과강(強龍過江) | 사해보응신(四海報應神) | 이전 제목 고검강룡(古劍強龍), 광검무영(狂劍無影) |
49 | 풍운록(風雲錄) | 요문중(姚文仲) | 이전 제목 소신마(小神魔), 소마신(小魔神 ), 풍운영렬전(風雲英烈傳) |
50 | 냉검비연(冷劍飛鶯) | 요릉풍(晁淩風) | 이전 제목 능풍연비(淩風飛燕), 냉검비응(冷劍飛鷹) |
51 | 호한군영(湖漢群英) | 교관화(喬冠華) | 이전 제목 호해군영(湖海群英) |
52 | 망원마표(莽原魔豹) | 장가전(張家全) | 이전 제목 산야마표(山野魔豹) |
53 | 벽혈강남(碧血江南) | 장추산(張秋山) | |
54 | 무정도객유정천(無情刀客有情天) | 이구여(李九如) | 이전 제목 차웅일월도(雌雄日月刀)와 호화인(護花人) |
55 | 사해응양(四海鷹揚) | 장윤중(張允中) | 이전 제목 미봉축룡(美鳳逐龍) |
56 | 홍진벽옥(紅塵碧玉) | 이굉달(李宏達) | |
57 | 살수춘추(殺手春秋) | 옹불용(雍不容) | 이전 제목 한해정천(恨海情天) |
58 | 벽력도검정 (霹靂刀劍情) | 허언방(許彥方) | 이전 제목 풍진괴협(風塵怪俠) |
59 | 교삭박룡(蛟索縛龍) | 강보허(薑步虛) | 이전 제목 절검구혼(絕劍勾魂), 틈도강호(闖道江湖) |
60 | 경화매영(京華魅影) | 이평(李平) | |
61 | 검저정천(劍底情天) | 구성하(丘星河) | 이전 제목 아독행(我獨行), 금검용표(金劍龍鏢) |
62 | 검재천애(劍在天涯) | 우추전(禹秋田) | 이전 제목 환검비홍(幻劍飛虹) |
63 | 용호풍운방 (龍虎風雲榜) | 주능운(周淩雲) | 이전 제목 도기철골(刀氣澈骨), 백료도(百了刀) |
64 | 초망쟁웅(草莽爭雄) | 장계무(張季武) | 이전 제목 구화성풍(九華腥風), 장의팔장(仗義八將) |
65 | 풍진세월(風塵歲月) | 희현화(姬玄華) | 이전 제목 오악광객(五嶽狂客) |
66 | 팔극유룡(八極遊龍) | 양일범(楊一凡) | 이전 제목 난세유룡(亂世遊龍) |
67 | 호소금릉(虎嘯金陵) | 유사(柳思) | 이전 제목 냉면도객(冷面刀客) |
68 | 탁세정원(濁世情鴛) | 계성한(桂星寒) | |
69 | 호해용사(湖海龍蛇) | 왕약우(王若愚) | 이전 제목 금문성녀(金門聖女) |
70 | 호담웅풍(虎膽雄風 ) | 조세기(曹世奇) | |
71 | 초망영웅(草莽英雄) | 곽연(霍然) | 이전 제목 사도소마(邪道笑魔) 살벌(殺伐) |
72 | 마검경룡(魔劍驚龍) | 황자연(黃自然) | |
73 | 맹룡위봉(猛龍威鳳) | 팽강(彭剛) | 이전 제목 환영정도(幻影情刀) |
74 | 교연웅응(矯燕雄鷹) | 나원(羅遠) | |
75 | 벽력천망(霹靂天網) | 우문빈(宇文斌) | |
76 | 도기감춘정 (刀氣撼春情) | 고대원(高大元) | 이전 제목 마녀정조(魔女情潮) |
77 | 매영마종(魅影魔蹤) | 양명(楊明) | |
78 | 봉인기정(鋒刃綺情) | 조신(趙辛) | 이전 제목 무정도객유정천(無情刀客有情天) 제1부 고검강룡(古劍強龍) |
79 | 정검경화(情劍京華) | 이계옥(李季玉) | |
80 | 검영미종(劍影迷蹤) | 양굉(梁宏) | 이전 제목 검영미정(劍影迷情) |
81 | 열화정도(烈火情挑) | 미출판 | |
82 | 강호엽인(江湖獵人) | 부가위(符可爲) | 6부의 단편을 모은 작품. 운중악은 진품이 아니라고 부인 |
83 | 무림정구(武林情仇) | 팽정종(彭政宗) | 4부 단편을 모은 작품, 운중악은 진품이 아니라고 부인 |
출처 : 百度百科 http://baike.baidu.com/view/248745.htm